【김교신 특집 소론】 제6부. 기독교인으로서의 삶과 죽음

【김교신 특집 소론】 제6부. 기독교인으로서의 삶과 죽음

기독교인으로서의 삶과 죽음

【김교신은 누구인가?】

김교신 선생은 오늘날 한국과 전 세계가 귀 기울여야 할 한국 기독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순교자 중 한 사람으로, 이 글은 폴리현숙 박사(한국 순교자의 소리 회장)가 그에 관해 쓴 특집 소론(小論)이다.

새벽 기도회의 통성 기도가 한국 교회의 상징이라면, 혼자서 일찍 일어나 찬물로 몸을 씻고 늦게까지 성경을 연구하는 일은 김교신의 기독교적 상징이었다.

훗날 월간 「성서조선」에 실린 158편의 글을 전부 모아 총 7권의 김교신 전집으로 엮은 노평구는 이렇게 말했다. “[김교신은] 동포들의 신앙을 위해 독특한 방식으로 「성서조선」을 발간했다. 그가 바랐던 것은 사람들이 기존 교회의 의식과 설교를 받아들이는 것보다는 한국인들의 영성을 통해 성경을 연구함으로써 기독교를 소화하는 것이었다. 그는 우리가 제대로 된 믿음을 갖기 위해 차가운 물로 우리 머릿속의 감정적 열심을 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김 2012, 180).”

이러한 독학 방식은 김교신이 만들어낸 것만은 아니었다. 이는 사실 서양 선교사들이 들어오기 이전, 한국 기독교를 특징짓던 고유한 실천 방식이었다.

한국 기독교는 외국 선교사가 아니라 한국인 유학자들에 의해 먼저 시작되었다. 유교주의의 전통은 유학자들이 고전을 읽고, 읽은 바를 토론하며, 연구를 실시하는 일이었다. 고전은 그들이 알고자 했던 전부를, 그리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제공해주었다.

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에서 천주교(로마 가톨릭)가 형성된 시기인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천주교 신자가 된 조선 유학자들은 외국인 선교사들에게 수동적으로 배우기보다는 자신들이 해왔던 방식과 비슷하게 성경을 탐구하고 이해했다.

마찬가지로 개신교가 도입된 초기 단계에서 [무교회주의] 신자들 역시 유교의 영향을 받던 때와 똑같이 성경을 공부하고, 이해하고, 그 가르침을 실천하는 데 있어 외국인 선교사의 도움이 꼭 필요한 것이라 여기지 않았다.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성경 하나면 충분했고, 어떤 외부의 도움 없이도 성경이 가르치는 바를 알 수 있다고 그들은 자신했다(황, 2012, 175).

김교신에게 기독교는 행해야 할 어떤 의식이 아니라, 연구하고 숙련되어 성령의 역사 속에서 삶으로 살아내야 하는 도(道)였다. 그래서 그는 유교 서원에서 공부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르치되 ‘유교 서적을 읽고, 암기하고, 풀이하는’ 대신, 어떻게 스스로 성경을 읽고 암기하며 해석해야 하는지를 제자들에게 가르쳤다(황, 2012, 28).

여러 가지 면에서, 김교신이 성경을 가르치는 방식은 그가 낮에 초등학교 교사로서 여타 과목을 가르치던 방식과 같았다(김, 2012, 2). 그는 기독교적 삶을 살아내고 본을 보이기에 가장 중요한 장소가 교회 건물이 아니라 공립 학교의 교실이라 여겼다.

초등학교 교사로 사는 것은 목회하는 일보다 덜 헌신된 것처럼 들리고, 일부 민족주의자들의 활동보다 덜 혁명적인 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일본인들은 김교신이 교실에서 보여준 그리스도와 조선을 향한 충성스러운 행동을 이유로 그를 국가 안보의 위협으로 간주했다.

한 예로, 그는 출석을 부를 때 학생들의 조선어 이름을 사용할 뿐 아니라 자신도 계속 조선어 이름을 사용하였다. 그는 한국어로 수업했고, 지리 수업 중에도 식민 정책과는 반대로 일본 지리가 아닌 조선 지리를 가르쳤다. 그는 아침 운동 때 일본 천황에게 절하는 것도 거부했다.

김교신은 조선어 성경으로 수업을 하기도 했다. 결국 그는 12년 교사 생활을 끝으로 1940년 강제 해임 당했다(김, 2012, 2). 그리고 2년 뒤, 김교신은 자신의 잡지에 실린 한 편의 기사 때문에 일제에 의해 감옥에 갇혀 1년간 옥살이를 했고, 300명의 구독자 역시 10일 혹은 그보다 더 오래 구금을 당했다(황, 2012, 100).

감옥에서 풀려난 후 가르치는 일을 금지 당했지만, 그는 가르치는 일을 계속했다. 이번에는 흥남 질소비료 주식회사에서였다. 일본 대학 동창 중 한 명이 공장에 있는 5,000명 조선인 노동자들을 감독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일에 그를 고용했던 것이다.

김교신은 노동자들의 육체적 필요를 돌볼 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에게 조선어 강의도 해주었다. 일본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김교신의 동창생과 공장장이 그를 옹호하면서 그 강의가 노동자의 안전과 생산성에 필요한 것이라고 주장했다(김, 2012, 168).

결국, 믿음을 삶으로 살아내는 일은 김교신 자신의 생명을 대가로 지불해야 했다. 그것은 정부의 손이 아닌, 전염병의 손에 의해서였다. 1945년 4월, 전쟁이 끝나기 불과 3개월 전, 김교신은 감염된 노동자들을 직접 돌보다가 병에 옮았다. 44세의 일기로 김교신은 숨을 거두었고, 걸맞은 헌사를 받기도 전에 시신은 화장되었다(황, 2012, 89). 이는 아마 그가 원하는 바였을 것이다.

Join Voice of the Martyrs Korea Today!


Join Voice of the Martyrs in providing emergency and ongoing support to the families of martyrs and Christian prisoners around the world.
전 세계 순교자 및 수감자 가족들의 긴급한 필요를 지원하고 그들을 지속적으로 돕는 한국 순교자의 소리의 사역과 함께 해 주세요.

Leave you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