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신 특집】 제1부. 담대히 옳은 일을 할 자유

【김교신 특집】  제1부. 담대히 옳은 일을 할 자유

【김교신 특집】 제1부. 담대히 옳은 일을 할 자유

제1부. 담대히 옳은 일을 할 자유

【김교신은 누구인가?】

김교신 선생은 오늘날 한국과 전 세계가 귀 기울여야 할 한국 기독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순교자 중 한 사람으로, 이 글은 폴리현숙 박사(한국 순교자의 소리 회장)가 그에 관해 쓴 특집 소론(小論)이다.

질문: 김교신의 무교회주의 운동(Non-Church Movement)의 문제점은 무엇이었는가?

  • 설립된 교회를 거부했다.
  • 교회와 목사 안수에 속한 모든 권위를 부정했다.
  • 세례를 거부했다.
  • 성찬식을 거부했다.

— KPCA Ordination Study Guide, 2015 미주한인장로회 목사 고시 문제집(2015) 중

미주한인장로회(KPCA)의 목사 고시 문제집 중 교회사(敎會史)에 해당하는 250개 문항에는 위의 ‘단답형’ 질문을 포함해 3개의 김교신 관련 문항이 있다. 어떤 문항도 그를 긍정적으로 그리고 있지 않다. 사실, 한국 교회사 교과서에서 언급되는 김교신은 보통 다소 비극적인 인물처럼 보인다. 한국을 열렬히 사랑했던 청렴결백한 사람, 한국 기독교에 헌신을 다했으나 결국 한국 교회를 거부했던 사람으로 말이다.

그런데 이것은 과연 김교신에게 적합한 묘사인가? 연세대학교 서종민 교수가 ‘한국 민족주의 기독교의 한 형태’(황, 2012, 3)라고 묘사했던 것처럼 그는 무교회주의 운동을 일으킨 아웃사이더로 기억되어야만 하는 것인가? 역사적 호기심 외에는 오늘날 그의 저술을 연구할 이유가 아무것도 없는가?

김교신은 “다른 누구보다 우리가 무교회주의 운동 같은 말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스스로 밝혔다(김, 2012, 196). 실제로 그의 글들은 그가 오늘날 우리가 기억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목적, 그리고 한국 교회를 향한 매우 다른 태도를 지녔던 매우 다른 사람임을 드러낸다.

김교신이 “장로교회에 출석했고, 교회 건축을 위해 헌금을 냈으며, 전통 교회가 조직한 부흥 집회를 인도해달라는 요청을 받아들였다.”(황, 2012, 105)는 점은 한국 교회사를 공부하는 대부분의 학생들을 놀랍게 할 것이다.

또한, 당시에 김교신이 한국교회로부터 배척과 오해를 받게 될 것을 정확하게 예상하고 있었고, 그러나 훗날(지금 이 시대) 한국 교회(적어도 한국 기독교인)는 자신의 글을 이해해 주리라 믿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1927년, 잡지 「성서조선(Bible Korea)」 창간호에서 김교신은 그가 믿었던 것은 자신에게 하신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기록했다.

‘성서조선’아, 네가 만일 그처럼 인내력을 가졌거든 너의 창간 일자 이후에 출생하는 조선인을 기다려 면담하라. 상론(相論)하라. 동지(同志)를 한 세기 후에 기약한들 무엇을 탄식하겠는가! (김, 2012, 214)

이 연작 기획을 통해 김교신이 과연 어떤 사람이었는지, 그가 이루고자 했던 바는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위에서 언급된 그의 예언처럼 그의 글이 쓰인 지 이제 거의 한 세기가 지난 지금, 김교신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100년을 앞선 그 시대에 그가 정립해 놓은 실천적 사상으로 기꺼이 함께 나아갈 동지들을 그가 만날 수 있을지 새롭게 숙고해 볼 수 있길 바란다.

Join Voice of the Martyrs Korea Today!


Join Voice of the Martyrs in providing emergency and ongoing support to the families of martyrs and Christian prisoners around the world.
전 세계 순교자 및 수감자 가족들의 긴급한 필요를 지원하고 그들을 지속적으로 돕는 한국 순교자의 소리의 사역과 함께 해 주세요.